병원소개 | 진료과목 | 예방접종 | 클리닉안내 | 커뮤니티
소아내분비알레르기 / 천식성조숙증소아비만

/_files/5LF2Q2Xcu.jpg

알레르기 질환 : 아토피


아토피 피부염은 피부에 발생하는 만성 알레르기 염증성 질환으로 빨간 발진, 심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
것이 특징입니다. 가려움증으로 인해 자꾸 긁게 돼 피부 손상 및 염증 악화 등의 악순환이 반복됩니다.


아토피 원인


  •  
    유전적 요인
  •  
    환경적 요인
    식품 항원(우유, 계란, 어류, 견과류, 콩과 식물),
    흡입성 항원(집먼지 진드기, 곰파이, 동물 털, 꽃가루),
    감염(바이러스, 세균, 진균), 기후(습도, 기온), 정신적 스트레스

아토피 증상


  • 01

    거칠어지는 피부

  • 02

    심한 가려움증

  • 03

    알레르기 질환 동반

  • 04

    염증이 반복되는 악순환


아토피 진단


  • 1
    알레르기 피부 반응 검사 : 알레르기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(만 3세 이상부터 실시)
  • 2
    혈액검사(면역글로불린 E(lgE), MAST(Multiple Allergen Stimultaneous Test)

아토피 치료


  • 01

    회피요법
    (원인 및 악화요인 제거)

  • 02

    약물치료
    (스테로이드 외용제)

  • 03

    피부 관리(피부 보습)

  • 04

    환자 및 가족의 교육


스테로이드 연고의 선택 및 사용 방법


  • 1
    피부염 부위나 상태에 맞는 제제 선택
  • 2
    중간 세기의 스테로이드 외용제로 시작
    (몸통과 팔다리에는 중증도 연고를, 손과 발에는 강한 연고를 바른다)
  • 3
    스테로이드 외용제는 하루 2회 도포
  • 4
    피부가 얇은 부위는 낮은 세기의 외용제

일상생활 속 관리법


  • 1
    목욕은 10분 내로 간단하게 해야합니다.
  • 2
    보습제는 목욕 후 3분 내에 발라야합니다.
  • 3
    적절한 실내 온도 및 습도 유지 필수입니다.
  • 4
    순면 소재의 옷 착용합니다.

알레르기 질환 : 비염


알레르기 비염은 재채기, 콧물, 코 막힘, 가려움증 등이증세를 보이는 코 점막 질환입니다.
면역글로불린 E(lgE) 매개 염증 반응으로 인해 생기는 유전성 알레르기 질환입니다.


비염의 원인


  •  
    유전적 요인
    부모 중 1명이 알레르기를 겪고 있을 경우 발병 가능성 증가
  •  
    환경적 요인
    집먼지 진드기, 꽃가루, 곰팡이, 애완동물의 털, 비듬, 바퀴벌레 등

비염의 종류



- 통념성 알레르기 비염(일년 내내 증상이 나타나는 비염, 실내에 오래 머무를 때 발병 가능성 증가)
-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(특정 계절에만 나타나는 것이 특징. 통념성에 비해 눈이 가렵고 눈물이 더 많이 분비됨)


비염 증상


  • 01

    재채기, 맑은 콧물,
    코막힘

  • 02

    습관적으로
    목을 가다듬는 증상

  • 03

    두통, 눈이나 귀,
    입천장 등이
    가려운 증상

  • 04

    코 안이 부어
    냄새를 맡기 어려움

  • 05

    콧등에
    나타나는 주름

  • 06

    거무스름한
    눈밑


비염 진단


  • 1
    피부 반응 검사 :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 물질을 찾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
  • 2
    혈액 검사 : 면역글로불린 E(lgE)
  • 3
    비강 내 소견 : 창백하게 부은 비 점막

비염 치료


  • 1
    환경요법 :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치료법. 알레르기 원인 물질을 찾아 이를 피하는 요법
  • 2
    약물요법 : 코 안에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국소 약제 및 경구 투여하는 경구약제 사용. 의사의 적절한 처방이 중요
  • 3
    면역요법 : 약물요법이 잘 듣지 않는 환자, 약물요법을 희망하지 않는 환자, 약물요법 적용 시 부작용을 보이는 환자,
    장기간의 약물요법이 필요한 환자 등에게 적용하는 치료법


알레르기 질환 : 천식


천식은 만성적인 기도 내 염증 질환에 의해 기관지가 좁아져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입니다.


천식의 원인


  • 1
    집먼지 진드기
  • 2
    바퀴벌레
  • 3
    꽃가루
  • 4
    곰팡이
  • 5
    음식물(메일, 계란, 우유, 새우, 게, 사과, 밀가루, 땅콩 등)
  • 6
    부갑상샘 및 골 대사 질환
  • 7
    천식 악화 인자(감기, 담배 연기, 운동, 약물, 기후 변화, 식품첨가제, 스트레스, 새집증후군)

천식 진단


  • 01

    폐 기능 검사

  • 02

    혈액검사

  • 03

    피부 반응 검사

  • 04

    방사선 촬영

  • 05

    천식 유발 검사


천식 치료


  • 1
    환경요법(천식의 원인 또는 악화 물질을 파악하여 이를 제거하는 치료법)
  • 2
    약물요법(질병 조절제, 증상완화제)
  • 3
    면역요법(알레르기 원인이 확실한 경우 원인 물질을 지속적으로 반복 투여하여 적응시키는 치료법)

일상생활 속 예방 가이드


  • 1
    집먼지 진드기를 제거해야 합니다.
  • 2
    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피해야 합니다.
  • 3
    습도를 조절해야 합니다.
  • 4
    청소시 쓸지 말고 물걸레로 청소해야 합니다.
  • 5
    환기는 밤 중에 실시해야 합니다.
  • 6
    전자파 제품은 피해야 합니다.